본문 바로가기

한과의종류7

한과의 종류 - 정과 정과는 제철 과일이나 연근, 생강, 인삼 등 식물의 뿌리 같은 재료를 꿀이나 설탕에 재우거나 졸여서 만든 것으로, 당도가 높아 오랫동안 저장이 가능하며, 정과를 꿀물에 띄워서 수정과로 만들기도 합니다. 이러한 정과는 다른 이름으로 전과라고도 부르고, 큰상이나 장국상,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올라갔습니다. 정과는 오랫동안 조리는 방법으로 만들기 때문에 수분이 많고 섬유소가 없는 재료는 만들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단단하고 섬유소가 많고 껍질이 있는 재료로 만들면 먹기 좋은 정도로 물러지고 잡냄새가 없어집니다. 정과에 이용할 수 있는 과일은 보통 모과나 유자, 살구, 산사 등이 있으며, 뿌리 식물 중에서는 연근, 생강, 인삼, 도라지, 당근, 무, 우엉 등을 이용하고, 그 외 호박이나 박을 타서 건조한 오가리를.. 2024. 3. 19.
한과의 종류 - 다식 (2) 1. 송화다식 송화다식은 늦은 봄에 피어나는 소나무의 꽃가루를 말려두었다가 꿀이나 조청 등을 넣고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은 것입니다. 송화다식은 소나무의 꽃가루인 송화가 날아가기 전에 미리 물을 담아놓은 커다란 자배기에 송화를 털어 담고 물을 갈아서 곡식의 가루나 흙 등을 물에 넣고 저어서 잡물을 없애는 수비 작업을 거쳐 만듭니다. 다식 중에서 송화다식은 최고급에 속하며, 강원도 지역에서 나는 송화다식의 맛이 굉장히 우수해서 중국 황실에도 올려졌다고 전해집니다. 옛 문헌인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의 기록을 보면 송홧가루를 고운 체에 내려서 수비하여 석청을 넣고 반죽한 다음 다식판에 박아서 만드는데, 송화가 다 핀 상태 때는 바람에 날아가 모으기 어렵기 때문에 피려고 할 때 가지에 달린 상태로 따서 돗자리 위에 .. 2024. 3. 16.
한과의 종류 - 다식 (1) 다식은 볶은 후 말린 멥쌀가루나 송홧가루, 밤 가루, 콩가루, 흑임자 가루, 참깻가루 등에 꿀이나 조청 등을 넣고 반죽하여 수, 복, 강, 영 등의 글자, 기하 문양, 꽃문양 등이 새겨진 다식판에 박아서 만든 둥글납작한 음식으로, 잔치나, 혼례, 제사 등에 쓰이던 음식입니다. 다식을 제사상이나 잔치의 큰상에 높이 고일 때는 다양한 색의 다식으로 글자와 나선 문양을 만들면서 높이 고이는데, 제사에는 흑임자 다식, 송화다식, 쌀 다식을 올리고, 혼례 때의 큰상에는 노란색, 푸른색, 흰색, 검은색, 붉은색의 다섯 가지 색을 맞춰서 송화다식, 콩다식, 쌀다식, 흑임자 다식, 분홍색의 녹말 다식을 섞으면서 높이 고여 화려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다식은 차를 마시는 풍습이 있었던 신라시대와 고려시대 때부터 있었으며,.. 2024. 3. 14.
한과의 종류 - 유과 (2) 1. 강정 강정은 다른 이름으로 견 병이라 부르기도 하였으며, 찹쌀가루에 술을 넣고 반죽하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잘라서 그늘에 말린 후 적당한 온도의 기름에 튀겨서 꿀과 고물을 묻힌 것으로, 약과나 다식과 더불어 잔칫날이나 큰상,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올라가던 과자입니다. 강정은 크게 산자와 강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산자는 모양이나 색깔에 따라서 매화산자, 백 산자, 홍 산자 등이 있으며, 강정은 만드는 고물의 재료에 따라 콩강정, 깨강정, 흑임자강정, 잣강정, 승검초강정, 송화강정, 계피강정, 세반 강정, 방울강정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강정은 한나라 때 아침 식사하기 전에 입맛을 돋우는 한 구라는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우리나라 고려시대 때 확산한 것으로 추측합니다. 강정에 .. 2024.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