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4 한과의 종류 - 유밀과 (2) 2. 만두과 만두과는 약과 반죽과 같은 반죽에 꿀과 계핏가루에 다진 대추를 넣고 만든 소를 반죽에 넣고 작은 송편 크기로 빚어서 기름에 튀긴 후 즙 청하여 잣가루를 뿌린 것으로, 관혼상제와 같은 때의 고임 상에 높이 고인 약과 위에 웃기로 쓰이는 유밀과 중의 하나입니다. 만두과의 반죽은 약과 반죽과 똑같지만, 꿀과 술을 약과 반죽보다 조금 더 넣어서 질게 반죽해야 합니다. 이러한 만두과는 1800년대 말의 문헌인 시의전서와, 윤씨음식법, 1900년대의 문헌인 조선요리제법과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으며, 이외에 도문대작 등의 문헌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시의전서에 기록되어 있는 만두과는 반죽을 만두처럼 하고 대추를 곱게 다져 쪄서 꿀과 계피를 대추의 양만큼 넣고 잔살 잡고 지지는데, 약과.. 2024. 3. 9. 한과의 종류 - 유밀과 (1) 우리나라 한과의 종류 중 하나인 유밀과는 밀가루에 기름과 꿀을 넣고 섞은 반죽을 모양을 내고 기름에 지져서 꿀에 즙 청했다가 먹는 과자로, 유밀과는 밀가루 반죽을 과일 모양으로 만들어 기름에 지진 가짜 과일이라는 뜻의 가좌로 유밀과라고 불렀으며, 옛날부터 제사상에 과일 대신 유밀과를 올렸습니다. 이러한 유밀과는 유과와 같은 말로 쓰이기도 하는데, 유과와 유밀과를 만드는 재료를 보면 유과는 찹쌀가루를 사용하고, 유밀과는 밀가루와 메밀가루 등을 사용하여 둘이 만드는 재료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유과의 종류에는 강정과 산자, 빈사과 등이 있으며, 유밀과의 종류에는 약과 등이 있습니다. 유밀과의 대표적인 것은 현재 많은 사랑을 받는 약과인데, 약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밀가루에 기름을 넣고 반죽한 다음 꿀과.. 2024. 3. 6. 한국의 과자 - 한과 한과는 서양의 과자와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으로 원래 우리나라의 전통 과자는 과정류나 과줄이라고 불렀으며, 옛날에는 생과일과 구분하기 위해 과일을 말리는 등의 가공을 하여 과일의 대용품이라는 의미로 조과라고도 불렀습니다. 한과의 종류에는 유밀과, 다식, 정과, 과 편, 엿강정 등이 있으며, 농업이 발달하여 곡물의 생산량이 많았고, 불교가 확산하여 육류를 피하게 된 통일신라 시대나 고려시대에는 한과는 혼례나 제례 등의 상차림에는 필수였습니다. 이러한 한과는 삼국 통일 이후 다과상이나 다정 모임 등이 생기면서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고, 고려시대에는 각 사찰이나 마을에서 임금님에게 유밀과를 진상하였으며, 조선시대에 와서는 왕실과 양반가의 기호식품으로 큰 사랑을 받았고 임금님의 수라상이나 의례 상차림에 반드시.. 2024. 3. 4. 한국 요리 (5) 독특한 맛과 건강에도 좋은 한국 발효식품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한국의 문화적인 유산 중 하나로 여겨지며, 최근 몇십 년 동안의 과학적 연구와 혁신에 의해 더욱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 발효식품의 제조 과정과 건강에 이로운 점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그리고 과학적인 원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한국 발효식품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자면 고대 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온 전통적인 방법과 최신의 과학 기술을 결합하여 이루어집니다. 대표적인 한국 발효식품에는 김치와 된장, 간장, 고추장 등의 장류가 있습니다. 이러한 발효식품은 발효 과정에서 유익한 미생물이나 효소의 활동으로 만들어지며, 그 과정에서 형성되는 맛과 영양성분은 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한국의 발효식품 .. 2024. 3. 1.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