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빔밥은 밥 위에 나물과 고기, 고명 등을 올려 참기름과 양념을 넣어 비빈 음식입니다. 요즘에도 반찬이 마땅치 않을 때 간단하게 한 끼 음식으로 먹을 수 있는 음식이며, 옛날에는 육회를 제외하고서는 날것을 전혀 넣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무생채, 오이생채, 날 상춧잎 등의 날것을 많이 넣어 먹습니다.
비빔밥이 나온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면 먼저 우리나라 제사 풍습에서 나왔다는 첫 번째 이유가 있습니다. 조상을 위한 밥과 고기, 생선, 나물 등의 음식을 차려 제사를 지낸 후 제사상의 음식들을 골고루 나눠 먹었는데, 이때 이 음식들을 비벼 먹었던 것에서 비빔밥이 나왔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두 번째는 한 해가 끝나는 날 음식을 남기지 않고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기 위해 밥에 남은 반찬을 전부 섞고 비벼서 밤참으로 먹었던 풍습에서 나왔다는 설이 있습니다.
세 번째는 옛날부터 우리나라에는 이웃끼리 모내기나 추수할 때 서로의 일을 도와주는 품앗이라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때 음식 재료를 들로 가지고 나가 한꺼번에 비벼 나눠 먹음으로써 시간과 노동력을 아꼈는데 이러한 들에서 밥을 먹던 풍습에서 비빔밥이 생겨났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비빔밥에 대한 기록은 1800년대 말 시의전서에서 처음 등장하였습니다. 시의전서에서는 비빔밥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나와 있는데 밥에 각종 나물과 볶은 고기, 튀각, 전유어 등을 넣고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기름을 넣고 비벼서 그릇에 담아 고명으로 알지단과 고기로 만든 완자를 얹었으며 이때 소고기와 내장을 끓인 국을 함께 먹었다고 합니다.
동국세시기에는 비빔밥의 유래를 중국이라고 하였는데 내용을 보면 “양쯔강 사람들은 젓, 회, 포, 구운 고기 등을 밥에 넣어 만들어 먹었으며 이것이 밥의 골동이며 옛날부터 있던 음식이다”라고 하였습니다.
비빔밥은 '어지러운 골', '비빔밥 동' 즉, ‘비빔밥’이라고 하여, 여러 가지 재료가 골고루 섞여 있는 밥이라는 뜻을 가졌습니다.
한 해 마지막 날 밤 남은 음식을 새로운 한 해까지 남기지 않는다는 유래와 같게 동국세시기에도 섣달그믐날 저녁에 남은 음식은 해를 넘기지 않는다고 하여 남은 음식으로 비빔밥을 만들어 먹었고 궁중에서도 ‘비빔’이라고 하여 섣달그믐날에 비빔밥을 만들어 먹었다고 합니다.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서도 비빔밥에 대해 기록했는데 “비빔이란 곧 골동을 뜻하니, 골동 가게가 헌 넝마나 오래되고, 파상 난 것 등을 벌여 놓고 사고파는 데를 말하는 것을 보아 비빔밥도 여러 가지를 섞은 음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가게도 신선하고 아담한 물건을 정갈하게 정리해 놓아야 깨끗하며 보기에도 좋으니 골동 가게의 물건을 어지럽게 놓으면 비빔밥을 좋아하는 사람처럼 골동을 파는 사람도 그와 같이 탁해 보인다.”라고 하였으며 비빔밥을 만들 때도 어지럽게 만들지 말고 잘 정리해 차린 골동품 가게처럼 정갈하게 만들라는 뜻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우리 조상은 옛날부터 산신제나 동제, 시제 등의 제사를 집과 떨어진 곳에서 지냈으며, 제사에 참석한 사람들은 한 명도 빠짐없이 음복해야 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사를 지낸 후 각자 그릇을 하나씩 받고 그릇에 밥과 나물, 적 등의 여러 찬을 함께 받았으며, 먹을 때는 자연스럽게 비벼 먹게 된다고 하였습니다. 이렇게 제사 후 밥과 여러 찬을 함께 비벼 먹는 풍습은 아주 오래전부터 있어 왔습니다. 따라서 비빔밥이 처음으로 기록된 1800년대 문헌보다 훨씬 옛날부터 비빔밥을 먹는 풍습이 있었을 거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1. 전주비빔밥
오래전부터 전라도는 음식이 맛있기로 유명하였는데, 특히 전주는 옛 이름이 완산으로 조선 왕가의 본관이었기 때문에 전라도의 온갖 특산물이 모이는 곳이었으며, 이에 따라 음식 맛이 좋았습니다. 팔월 서낭당 골에서 나오는 감과 오목대의 청포묵, 기린봉의 열무, 서원 너머의 미나리, 소양의 담배, 전주천의 모래무지, 게, 콩나물을 완산의 8 미로 꼽았으나 지금은 아쉽게도 거의 찾을 수가 없습니다. 전주의 산물 중 지금은 전주비빔밥이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전주비빔밥은 일반적인 비빔밥 만드는 방법과 조금 다른데, 방법에 대해 말하자면 먼저 깨끗이 씻어 불린 쌀에 양지머리로 만든 육수를 부어 밥을 짓고 뜸이 들 때 콩나물을 넣고 살짝 익혀서 솥 속에서 비비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묵은 간장과 고추장, 참기름 등을 넣고 가장 위에 육회를 얹어서 먹으며, 전주비빔밥은 각 계절에 나오는 제철 재료를 넣어 만들기도 합니다. 초봄에는 청포묵을 넣고, 초여름에는 쑥갓을 넣으며, 늦가을에는 깻잎이나 고춧잎 등을 넣어 먹습니다.
우리나라의 비빔밥 중 전주비빔밥이 가장 유명한 이유는 오래 묵은 간장과 고추장 그리고 콩나물에 있습니다. 전주비빔밥의 맛이 예전에 비해 많이 변했지만, 아직 한 음식점에서는 위의 방법과 같이 양지머리 육수로 밥을 짓고, 오래 묵은 장으로 나물을 무친다고 합니다. 이러한 전주비빔밥은 교동 샘물에 통통하고 길이가 짧은 콩나물을 넣어 끓인 콩나물국과 함께 먹어야 맛있다고 합니다.
2. 진주비빔밥
전라도에는 전주비빔밥이 유명하듯, 경상도에는 진주비빔밥이 유명한데, 진주비빔밥은 밥에 여러 가지의 나물을 넣으며 주로 그 계절에 나는 제철 채소를 숙채로 마련합니다. 나물은 손으로 뽀얀 국물이 나올 때까지 잘 무쳐야 제대로 된 맛이 나며, 이 진주비빔밥을 먹을 때는 바지락의 살만을 발린 후 다져서 볶은 다음 이것을 밥 위에 한 수저 얹고 선짓국과 곁들어 먹어야 합니다.
3. 헛제삿밥
헛제삿밥은 제사를 드리지 않고 먹는 가짜 제삿밥입니다. 헛제삿밥은 쌀이 귀했던 시절에 대놓고 쌀밥을 먹기가 미안스러워 유생들이 모여 제사 음식을 차리고 허투루 제사를 지낸 후 제수 음식을 먹은 데서 나왔다고 하는 유래가 있습니다. 또 다른 한 가지는 상민들이 제사를 지낼 수 없어 가짜 제사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헛제삿밥을 제대로 만들려면 나물을 무칠 때 실제 제상에 올리는 방법처럼 나물에 파, 마늘, 고춧가루 등의 양념을 넣지 않고 소금, 간장, 참기름, 깨소금만 써야 합니다. 또한 산적, 전유어, 상어 고기 산적, 북어찜, 두부 부침 등의 여러 나물과 고기와 무를 넣고 끓인 탕을 같이 냅니다.
다른 지역에서는 적을 만들 때 고기나 조기 등의 생선을 통째로 사용하지만, 경상도 지역에서는 반드시 도톰하게 썬 상어 고기로 적을 만듭니다. 또한 고등어나 가오리, 문어 산적을 마련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헛제삿밥은 요즘 경상도에 있는 안동 민속촌에서 판매하기도 합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비빔밥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 가지 1, 초판 1998. 10 쇄 2011., 한복진, 한복려, 황혜성)
비빔밥 [Bibim bap, 韩国拌饭] - 갖은 나물로 비빈 세계인의 건강식 (맛있고 재미있는 한식 이야기, 2013. 1. 2.)
'한국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주식류 - 팥죽, 잣죽 (0) | 2024.01.28 |
---|---|
한국의 주식류 - 죽 (0) | 2024.01.28 |
한국의 주식류 - 별미 밥 (1) | 2024.01.27 |
한국의 주식류 - 잡곡밥 (1) | 2024.01.27 |
한국의 주식류 - 밥 (2) (0) | 2024.01.26 |